방통대 환경보건학과/1학기

방통대 산업독성학 출석수업 과제물

수집er 2025. 1. 11. 19:39
반응형

방통대(방송대) 4학년 1학기 산업독성학 출석수업 과제물 자료입니다

1. 동물실험을 통해 구한 NOEL을 가상으로 설정하고 공기 중 노출기준 값이 10~15㎍/㎥ 범위가 나오도록 문제를 만들고 풀이과정을 제시하시오

 

문제) NOEL이 5이고 안전계수 범위는 25,000~30,000이다. 이 때 공기 중 노출 기준의 값을 구하여라 

 

풀이과정) 

 

- ThDo(역치사량): 동물실험에서 구해진 NOEL로서 양-반응 관계곡선에 의해 구해진 것

- SF(안전계수): 대략 10~1,000으로 SHD이하의 노출량은 안전할 것이라고 추정되는 값. 절대적인 안전을 확신해서는 안됨

 

반응형

따라서, SHD는 10~14( ㎍/㎥ )이다. 

 

 

2. 도둑맞은 미래에서 예로 든 생식물질 사례

1) 두 가지를 들고

2) 우리 주변에서 발생, 노출특성과

3) 건강 위험 가능성을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PCB(폴리염화바이페닐)은 벤젠고리의 염소위치에 따라 209종으로 분류된다. PCB는 불에 잘 타지 안으며, 환경과 동물 체내에 오래 머무를 수 있으며,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이다. 따라서 오래된 가전제품, 형광등, 전기장치, 변압기 등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2013년 국제암연구소와 미국환경보호국에서는 PCB를 유력한 발암물질로 간주했다. 

 PCB는 유기체 내에서 쉽게 유지되어 생체호가대 및 생체축적을 겪는다. 생체확대란 먹이사슬에서 연속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유기체의 조직에서 독성화학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생체축적은 유기체 내에서 PCB농도가 수명이 다할수록 증가하는 과저을 말한다. 

 현재 국내 PCB의 유통과 배출에 관한 기록은 없으나 유해성 폐기물 지역, 변압기, 형광제품 등의 장비의 소각, 불법 폐기, 유출 등으로 환경에 배출될 수 있다. 오염된 물고기를 섭취하거나 유해성 폐기물 지역 부근의 오염된 물과 토양에 접촉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고, 오염된 실내공기와 물, 매립지에서 배출된 오염된 토양 등에서도 노출될 수 있다. 

 PCB가 인체에 노출되면 여드름, 피부발진, 눈 자극, 관절통, 운동 근육 이상 및 기억력 저하, 주의력 결핍, 활동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PCB에 노출된 근로자 연구에는 간 손상이 나타났으며,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화합물의 모방으로 유방암 세포를 공급할 수 있으며, 자궁경부암과 같은 다른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청소년기 소년의 테스토스테론 수치와 부정적인 관련이 있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심각한 발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이옥신은 폐기물 소각 시 불완전 연소되거나 염소표백과정, 산불, 화산 등에서 생성될 수 있는 유해물질이다. 다이옥신은 총 210종이며 그 중 29종이 대표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로 쉽게 분해되지 않아 수십년간 자연환경 어디에나 존재하게 된다. 

 다이옥신은 쓰레기의 소각, 종이 또는 펄프의 표백과정, 여러종류의 플라스틱 제조 및 소각, 금속제련, 고온에서의 스틸생산, 유기염소계 농약의 제조 등에서 배출 또는 생성된다.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지방에 잘 녹는 성질로 인해 생체 축적도가 높아 자연에 오랫동안 존재하게 된다. 인간의 필요에 의해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인간활동의 여러 과정에서 만들어져 물, 공기, 토양 등 자연환경과 음식물까지 오염시키고 있다. 

 다이옥신은 인간의 신체에 오염된 물고기, 조개류, 육류, 유제품 등의 식품섭취, 호흡, 피부흡수 등 다양한 경로로 노출된다. 또한 직업적으로 노출되거나 다이옥신에 노출된 모체를 통해 태아가 노출될 수 있다. 다이옥신은 체내에 흡수되며 잘 배설되지 않고 체내 지방조직에 장기간 잔류한다. 

 다이옥신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암발생률의 증가, 당뇨, 갑상선 질환, 호르몬 조절기능의 변화, 면역계 손상, 신진대사의 변화가 있다. 출산율이 저하되고 유산가능성이 높아지며, 태아의 비정상적인 발달이 있거나 신생아의 몸무게가 감소할 수도 있다. 어린이의 경우 성장발달 지연이 될 수도 있고, 성인의 경우 생식기능장애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3. 원자력 발전소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방사선 노출을 가정하여 '전향적 사례-대조군 연구'를 임의로 설계해보자. 

1) 사례군과 대조군 설정방법

2) 노출변수 등 설정방법

3) 위험을 추정하는 방법 등이 들어가야 함

 

 사례군은 역학연구에서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집단이나 질병을 가지고 있는 집단을 말한다. 대조군은 연구 대상이 되는 유해인자의 노출이나 질병을 제외한 특성이 비슷한 집단이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방사선 노출을 가정한다고 할 때 사례군은 방사선에 노출되는 사람들이다. 이 때 사례군을 농사를 짓고 사는 마을의 40~70대로 가정하고, 그 대상은 50명 정도로 여자와 남자의 비율은 50:50으로 한다. 

 2013년 국립암센터가 내놓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갑상선암 환자수는 84명이다. 하지만 울진원전 주변의 갑상선 환자는 10만명당 496명 수준으로 전국 평균의 약 5.9배이다. 따라서 사례군은 '갑상선 관련질활을 진단 받은 자'를 노출변수로 설정한다. 

 

위험을 추정하는 방법은 사례군에서 위험요인에 노출되었던 비율(a/a+c)와 대조군(b/b+d)중에서 노출되었던 비율의 차이를 분석한다. 

반응형